본문 바로가기
SMALL

일상19

2023년 3월 12일 Medium 블로그에서 개발 디자인 패턴에 대한 글을 읽어봤다. 그 중 싱글톤 패턴은 개발을 하면서 자주 사용했던 패턴인데 특징, 장점, 단점, 써야하지 말하야 할 경우에 대해 알려고 하지 않고 써왔다. 하지만 계속 개발을 10년 이상 하려면 이러한 습관은 버려야 한다고 생각했다. 싱글톤 패턴이든 어떤 기능에 대한 클래스든 어떤 방식으로 코드가 동작되는지 파고들어 공부해야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기 때문이다. 추후 회사에서 코드 베이스를 공부하고 발표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인데 다양한 패턴을 숙지해놓으면 코드를 빠르게 분석할 수 있을 것 같다. 2023. 3. 12.
2023년 3월 8일 온보딩 교육을 받으면서 미스터블루 서비스 관련하여 조사해보고 의문점 및 개선점을 생각해보고 분석도 진행했다. 또한, 신규 입사자 분들과 같이 분석을 진행하고 팀장님과 회의를 진행하면서 미스터블루 서비스 개발 히스토리도 듣고 다 끝내진 못했지만 앞으로 어떤 점들을 중점적으로 봐야 할지 시야가 넓어진 느낌이었다. 추후 코드 베이스 분석 및 발표를 하게 되는데 그 때 분석했던 결과를 토대로 코드를 나름대로 리뷰해봐야겠다. 2023. 3. 8.
2023년 3월 6일 회사에서 온보딩 교육을 받았다. 내규, 복지사항, 조직도, 현재 무슨 일을 하고 있고 앞으로 어떤 일을 하게 될 것인지에 대해 배웠다. 마음속에서는 빨리 적응해서 실무에 투입되고 소스 코드도 보고 싶지만 나혼자 급하다고 다 되는게 아니고 이전에 급한 성격 탓에 일을 그르친 경험이 있기에 알려주신 것들을 토대로 어떻게 해야 내가 업무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중심으로 임해야겠다. 3줄 요약 - 회사가 넓어서 좋다. - 정확하고 빠르게 적응하고 싶다. 2023. 3. 6.
2023년 2월 28일 인터넷 강의를 하나 샀다. Flutter로 클론 코딩을 하는 강의인데 Flutter로 한 번도 개발을 해보지 않아서 어떤 방식으로 개발을 하게 될지 궁금하기도 하고 어떻게든 뽕을 뽑으려고 노력하려 한다. 추후에 kotlin이 아닌 Flutter로 앱을 개발하게 될 수도 있으니 강의를 들으면서 블로그나 Github에 관련 포스트를 기록해서 정리를 잘해야겠다. 2023. 3. 1.
2023년 2월 27일 주말 동안 대학교 친구들과 용인 펜션으로 놀러가니 주말이 엄청 빠르게 지나간 것 같다. 오늘도 혼자 집에서 유튜브를 보면서 쉬고 있었는데 '마이루틴'이라는 루틴 관련 앱에 대한 영상을 봤다. 스타트업 회사에서 만든 앱인데 간단하면서 생활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서비스라는 점에서 매력적인 것 같다. 서비스를 만들기 전 설문조사와 실험을 통해 결과를 내어 어떤 기능을 넣어야 사용자에게 더 도움이 될지 체계적으로 접근했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앱을 출시해서 서비스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나도 이렇게 철저하게 계획한 후에 앱을 출시해야 하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거창한 서비스를 기획하여 앱을 만들기 보단 복권번호 생성 앱, 간단한 알람앱 등을 만들어 앱 서비스 제공에 대한 A to Z를 나 혼자 해보.. 2023. 2. 28.
2023년 2월 23일 한 회사의 코딩테스트를 봤다. 팰린드롬이라는 알고리즘 문제였는데 역시나 어려웠다. 코딩테스트가 실무에서 쓰이는 건지 의아한 부분이 많아서 공부를 하지 않았는데 한 회사에서 이정도 문제는 풀 수 있어야 그 회사의 팀원들과 같이 일하는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는 기준인 듯하다. 구직 활동을 하면서 코딩테스트도 풀어서 블로그에 게시물로 업로드해야겠다. 2023. 2. 23.
LIST